<스프라이트>는 이름 그대로 <요정>을 상징합니다. 

요정은 있기는 있다는데 <눈에 보이지는 않는> 존재죠. 작고, 귀여워 보이는데다 힘도 그다지 강하지 않아서 별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지만 그렇다고 '만만하게 봐서는 안 되는' 존재이기도 합니다. 판타지 물에서는 빠질 수 없는 않는 감초같은 캐릭터죠.

 

요정의 종류와 수는 상당히 많습니다만, 대충~ <페어리(Peary)> <엘프(Elf)>, 그리고 <요얼(妖孼)> 나눠 볼 수 있겠는데요, 

<요얼(妖孼)>은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 '불행을 의인화 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재수없는 어떤 상황'이 벌어지면, 그것을 장난질 좋아하는 요정의 탓으로 돌리는 거죠. (우리나라로 치면 도깨비장난) 

<영국 민화>에 나오는 <요정 퍼크(Puck)>가 그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그래서 말투가 싸가지가 없나?) 

 

어디든 출연만 하면 준주인공 정도는 꿰찰 수 있다

 

캐릭터가 워낙 존재감이 통통튀다보니, '셰익스피어의 희극 <한 여름밤의 꿈>'에도 나옵니다. (명작 <유리가면>에서는 주인공 마야가 연극 '한 여름밤의 꿈'에서 퍼크 역을 맡았죠. 만화지만 연출이 참 잘됐음) 

 

근데 퍼크가 출연하는 작품 중엔 '끝나지 않는 불후의 명작'이 되는 경우가 있다.. 혹시 이것도 요정의 장난- '징크스(불행)'일까...?

 

그리고 덧붙이자면, 영국의 한 학교에 <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동아리가 있었는데, 한 잘생긴 소년이 부모의 반대를 무릎쓰고 연극에 출연해서 '요정 퍼크'역을 맡았습니다. 그리고 나중엔 진짜 요정이 되어 미국으로 날아가서 <닥터 하우스>의 연인같은 남친 <윌슨박사>가 되었죠..

 

 

 

 

인도에는 <모히니(मोहिनी))>라는 여신이 있는데, <비슈누(태양신)의 여성 화신>으로, <환상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비슈누는 모히니의 모습으로 나타나, 환상을 만들어 적을 교란시키거나, 자기들끼리 싸우게 만드는 등의 활약을 했습니다. 

스프라이트는 오프닝의 메소포타미아에서 밤하늘에 <환상을 만들어> 인간들에게 동료 이터널스가 데비안츠를 멋지게 해치운 이야기를 아주 재미있게 각색하여 들려줍니다. (비싼 3D영화를 공짜로! ㅠㅠ)

인간들은 이것을 보면서 '별들 속에 신과 영웅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고 철썩같이 믿었겠죠? 

 

지식보다 중요한 것은 상상력이다 -알버트 아인슈타인-

 

스프라이트의 <환상>은 얼핏 에이잭의 치유능력보다도 별 것 아닌 것처럼 생각되지만, 결코 '만만하게 봐서는 안 되는' 능력입니다. 영화 속에서 스프라이트는 환상을 이용해 데비안츠를 혼란에 빠트리기도 하고, 투명인간이 되기도 하고, <테나>의 폭주를 막기도 하고, 또 <세르시>에게 깊은 상처를 주고, 미성년자 출입금지 장소에도 뻔뻔하게 드나들었으니까요. (남탕에도 갔는지는 불분명한데, 장난꾸러기 퍼크가 그 짓을 안 해봤을리가...?ㅁㅎㅎㅎ)

 

 

그렇게 이터널스의 활약을 몇 천년동안 여기저기 거치는 문명마다 구색을 맞춰 이야기를 퍼트렸다면, 지금까지 전 세계에 전해 내려오는 모든 전설과 신화와 영웅들의 서사시- 수메르의 '길가메시 서사시'부터, 그리스의 '일리아드'와 '오딧세이', 북유럽의 '니벨룽겐의 노래'와 '베오울프', 영국의 '아서왕의 전설', '마비노기온', 인도의 '마하바라타' 등등... 모두 <스프라이트>가 만들어 낸 셈입니다. (흠~ 이거 대단한데?)

 

 

 

그러고보니 '어디서 들은 이야기'인데, 그리스의 전설적 시인 <호메로스(Homeros)>가 한 명이 아니라고 하더군요. 여러 명이 <호메로스>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그 긴 이야기를 대대로 이어가면서 완성했다는 것이죠. 

 

우훗~ 우훗~ 케빈아, 눈 깔아라~

 

그러니까, <호메로스>는 '단체' 또는 '가문'이라는 겁니다. 그렇다면 스프라이트가 그리스에서 <호메로스>라는 이름으로 수 백년에 걸쳐 세대교체를 흉내내가며 이야기를 썼다고도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호머(Homer)의 어원은 호메로스(Homeros)

 

아 참, 그러고보니 셰익스피어도 어쩌면 스프라이트가 변신한 모습일지도 모르겠네요? 그도 역시 실존인물인지 아리까리하다는 말이 있거든요. 

 

우훗~ 우훗~ 케빈아, 눈 깔아라~

 

 

 

<이야기>는 어른들을 위한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을 위한 <동화(fairy tale)>도 있습니다. 

 

난 평생 독신이었지.. 항상 짝사랑만 했거든..

"내에게 행복은 가정의 형태로 찾아올 수도 있었지만

대신 <뮤즈>가 되어 찾아와 주었다" 

-안데르센-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는 것은, 일종의 창조와도 같습니다. 

 

아폴론과 뮤즈

 

<그리스(로마) 신화>에는 <무사이(뮤즈)>라는 여신이 있는데, 작가를 포함한 <예술가에게 영감을 주는 존재>니다. (실은 9명의 여신이지만 스프라이트의 환영술을 생각하면 그까이꺼~) 

그렇다보니, 태양의 신이면서 음악의 신이기도 한 <아폴론>과는 '뗄 수 없는 사이'이기도 합니다. 올림포스에서 신들의 연회가 열리면, 아폴론이 하프를 연주하고 뮤즈가 노래를 불렀다고 하니까요.

(그러니 아폴론이 연회에서 사라진다면 뮤즈도 더 이상 무대 위에 존재할 필요가 없겠죠..?) 

 

박물관(museum)의 어원 뮤즈(Muse)

 

또 <뮤즈(Muse)>는 영상기술의 일종인 Multiple sub-Nyquist sampling encoding 의 약자이기도 합니다. (전문적인 용어라서 잘 모르겠지만, 고해상도 비디오를 만드는 것과 관련이 있는 듯합니다..;;;;) 

 

또한 인도 신화의 <락슈미लक्ष्मी(길상천(吉祥天)>은 인간에게 행복을 주는 신입니다. 

 

 

<이야기>는 순기능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죠. 

 

아지태가 춘향에게 준 선물.. 나도 갖고 싶다..

 

'선'이 있으면 '악'이 존재하듯, <환상+이야기>는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좋은 쪽으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나쁜 쪽으로도 얼마든지 악용될 수 있습니다. 바로 <거짓말>입니다. 

 

거짓을 하면 거시기가 쑥-쑥쑥-쑥쑥♬

 

그래서 스프라이트도 인간에게 있어 <선한 편>과 <악한 편>을 넘나들죠. 

 

 

 

 

 

"거, <피오키오>가 신화와 무슨 상관이 있다는 거임니까?"

 

 

<피노키오>는 '그리스 신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영화 Shall We Dance 의 오프닝의 문구가 인상적이라 꼽사리 넣어봄..

 

 

자, 여기에 인류 최초의 찐오타쿠가 있습니다. 조각가 <피그말리온>은 자신이 만든 여자 조각상과 사랑에 빠졌죠. '결코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입니다. 

 

피규어(figure)의 어원 피그말리온(Pygmalion)

 

독일의 작곡가 '자크 오펜바흐'는 이 <피그말리온 이야기>(1차) 를 본뜬 <소설>을(2차) 읽은 후, <뮤즈>의 입김을 느꼈습니다.  그리하여 <호프만 이야기>라는 3개의 이야기가 이어지는 3막의 오페라를 작곡하게 되지요. (3차)

그 이야기 중 하나가 <올림피아>입니다. (이터널스는 올림피아 행성에서 왔다는 설정임) 

 

줄거리를 간략하게 적자면, 시인 호프만이 '한 발명가'가 만든 <자동인형 올림피아>가 노래하는 것을 듣고, 진짜 아름다운 소녀라고 착각하여 사랑에 빠질 뻔 했으나, 어떤 사건이 벌어져서 인간이 아님을 깨달으면서 사랑에 실패한다- 는 이야기입니다. (호프만은 <술집>에서 이야기를 늘어놓지요) 

https://youtu.be/I5hcpWm5oYI

 

<호프만 이야기>에서 올림피아가 부르는 <인형의 노래>라는 곡은 '콜로라투라 소프라노'라면 반드시 욕심을 내는 곡 중 하나입니다. 우리나라의 국보 조수미 선생님의 주요 레파토리중 하나로도 유명하지요. (누가 유툽에 가사가 있는 영상을 올려놨길래 퍼왔습니다. 시간 되실 때 한 번 들어보세요. 중간에 테엽을 갈아주는 부분이 포인트^^) 

 

또한 헐리웃에서 <오페라+발레 영화>로도 만들어졌는데, 연출이며 때깔이며, 음악, 춤, 연기 등등 지금봐도 세월의 흐름이 무색할 정도로 아름다운 작품입니다.ㅜㅜ https://www.youtube.com/watch?v=HN82DTbamkA

 

 

명작 <유리가면>도 '연극'으로 재미있게 재탄생시켰죠. 

 

----------------------------------------------------------------------------------------------------------------

 

<자동인형>이라는 소재는 또한 <피노키오>의 모티브가 되었으며,  

 

나의 인형아, 지구의 지적생명체를 보호하는 '이터널스'가 되렴

 

<피노키오>는 다시 영화 <AI>의 모티브가 되었으며, 

 

인간이 되고 싶어요..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 에서도 '반전 모티브'로 사용되었습니다. 

 

 

 

이것저것 늘어 놓다보니 좀 산만하게 느껴지실텐데, 이렇게 구구절절 늘어놓은 이유는... 새삼스럽지만 모티브의 영향력을 강조하고 싶어서 입니다. (이 영화에서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고)

이렇게 먼 옛날부터 전해지던 하나의 이야기가 오랜 시간을 두고 흐르면서 변화하고, 새로운 창작를 위한 모티브가 되고, 그렇게 태어난 작품이 또 다른 창작의 모티브가 되어 2차, 3차 콘텐츠로 이어지고 수 없이 반복되며 재탄생됩니다.

마치  하나의 열매에서 자라난 나무가 수 많은 가지(히어로)와 뿌리(빌런)를 뻗으며 자라나는 것 처럼.. 아마도 인류의 역사가 존재하는 한 인간의 상상력이 바닥날 때까지 끝없이 반복되겠죠.

 

영화는 그 수 많은 <신화 역사>를 엮어 짠 일종의 마법의 양탄자입니다. 우리는 그 위에 앉아서 꿈과 환상을 즐기며 살아고 있죠. 

 

"난 요정이자, 계약에 묶인 노예야.

그러나 원래는 악신에 가까운 존재..

자유를 갖고 싶냐고? 인간이 되고 싶냐고?

그건 램프를 쥔 사람 마음대로지.."

 

 

 

자,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서...... 피그말리온과 올림피아가 어떻게 끝나느냐 하면요..

 

지금은 싸인회에서 여자아이돌한테 몹쓸짓을 저지르는 헨타이에 불과하지만... 적어도 처음엔 순수했었다능;;;;

 

이룰 수 없는 사랑에 애태우다가 <여신>에게 올림피아를 '사람으로 만들어달라'고 빌었습니다. 그러자 마침내 소원이 이루어졌지요. 

인간이 된 오필리아는 피그말리온과 결혼하였습니다. 아마도 오래오래 행복하게 잘 살았겠지요? ^^

 

 

그리고 나무인형 <피노키오>도 '요정의 기적'으로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 행복하게 잘 살았다는 이야기- 로 <이야기>는 끝납니다. 

 

 

 

 

 

 

이집트에서 <아무네트(Amunet)>는 보이지 않는 <공기(투명함)>를 상징하는 여신입니다. 

또한 <아문=태양>의 여성형이기도 하지요. 

그리고 '빛'과 '공기'는 모두 '손에 잡을 수는 없지만, 그 영향력을 분명히 느낄 수 있다' <공통점>을 갖고 있습니다. 

<환상> <이야기(말)> '그 실체를 직접 만질 수는 않지만 느낄 수 있는 것'입니다. 

그 외에도 눈에 보이지 않지만 느낄 수 있는 것이 더 있습니다.

무엇일까요? ^^

 

 

 

 

 

 

 

 

 

 

그렇습니다. 바로 <꿈 사랑>입니다.

 

"어린이 여러분~ 항상 꿈을 잃지마세요~

하지만 내 회사의 저작권을 건드리면 3대까지 망하게 해주지! ㅋㅋㅋ"

 

 

 

다음 이야기로 어떻게 넘어가지..ㅜㅜ

 

 

 

그래! 유머를 하는 거야!

 

여기 창 안에서 사랑하는 남자와 함께 있는 여자가 있습니다.

 

 

창 밖에 혼자 있는 여자도 있습니다.

 

 

아마도 모두 창밖의 여자가 불행하다고 생각할 겁니다.

하지만 그녀는 불행하지 않습니다.

그녀에겐 자유가 있으니까요.

진짜 불행한 것은...

 

 

 

 

 

창틀에 낀 여자죠.

 

 

 

 

대부분의 사람들은 요정을 좋아하지만, 정작 스프라이트는 자신이 <요정>이라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아무리 영원한 젊음을 가지고 있어도 '영원히 어린아이의 몸인 채로는 <사랑>을 할 수 없으니까'요. 

 

나쁜짓을 하면 철컹철컹

 

킨고가 <피터팬>과 <팅커벨>이야기를 한 것은 관객에게 던진 떡밥이라기 보다 대놓고 정답을 알려준 것이죠. 

 

자, 봐, 스프라이트는 '어른이 되고 싶어하는 아이, 피터팬을 사랑하는 요정'이 모티브야. 대충 감 오지? 나 친절하지?

 

스프라이트 역할의 배우가 인터뷰 영상에서 "스프라이트는 말투가 원래 비꼰다. 그런데 특히 킨고한테는 더 그런다."는 말을 합니다. 배우가 배역의 성격을 그런 식으로 해석한 데에는 이유가 있겠죠? 그럼 왜 스프라이트는 <킨고>한테 더 싸가지 없이 말하는 걸까요? 

 

100년동안 대대로 톱스타 영화배우를 했으니 스캔들은 얼마나 많았을꼬..

 

아마도 킨고가 '자신이 이카리스를 사랑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고, 수 많은 여자들과 사랑을 나누기 때문'이 아닐까요? 자신은 그냥 한 사람을 사랑하는 것 조차도 허락되지 않는데 말이죠. (그래서 그런지 포스터의 표정도 오체불만족이 풀풀~)

 

그런데 '아리솀'은 그녀를 왜 어린아이로 만들었을까요? (어쩌면 이것은 케빈에게 하는 질문이 될 수도) 

언뜻 가혹해 보이지만 그렇다고 다른 이터널스도 완벽한 존재는 아닙니다. 막강한 신적능력을 지닌 존재지만 영화를 보면 각자 부족한 점이 드러납니다. 

 


에이잭은 리더지만 전투에서 써먹을 수 있는 능력은 없습니다. 이카리스는 이터널 중에서 최강이지만 사랑 앞에서는 무력합니다. 세르시도 마음은 강하지만 능력은 미약합니다. 킨고는 지나치게 자유롭고, 파스토스는 엄청난 기술을 갖고 있지만 그것이 인간에게 치명적인 독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은 미처 깨닫지 못했습니다. 마카리는 육체적, 테나는 정신적 결함이 있고, 길가메시는 누구보다 강한 파워를 갖고 있지만 자신의 마음을 고백할 용기는 없었습니다. 그루이그는 정신능력빼면 뭐? 

이것은 어떻게 보면 <완벽한 존재는 없다>라는 뜻이 아닐까요?

그렇다면 어쩌면... 신적 존재인 <셀레스티얼>도 무언가 결핍이 있을 수 있다는 암시가 아닐지...? 

 

누가 기침소리를 내었는가?

 

으흠, 으흠, 위에서 <스프라이트>의 모티브를 여러가지로 소개했지만, 아직 중요한 부분이 남았습니다.

그런데 이 부분은 <세르시>와 <이카리스>를 리뷰할 때 같이 다루는 게 더 나을 것 같아서, <스프라이트>편은 여기에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절대 무서워서 도망치는 거 아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