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타임스, 캘리포니아주, 역사 교육 지침 발표


“‘위안부’는 제도화된 성 노예에 대한 예로 

20세기 가장 큰 인신매매 사례”


- 정상추 / 뉴스프로  2016년 2월 11일 -




LA 타임스, 캘리포니아주, 역사 교육 지침 발표, 

“‘위안부’는 제도화된 성 노예에 대한 예로 20세기 가장 큰 인신매매 사례”


– 유럽사 중심이던 미국 고등학교 세계사…점점 최근 이민자들의 역사로 확대

– ‘위안부’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동아시아의 논쟁을 미국 고등학교에서 다루려는 최초의 제안으로 

  교과서들의 방향성에 광범위하게 영향 끼칠 것

– ‘위안부’ 문제, 학생들의 현대 인신매매 연구와 토론에 귀중한 출발점 될 것.


LA타임스는 7일 캘리포니아 주가 최근 발표한 고교 역사 교육 지침 초안에 ‘위안부’ 문제가 포함됐으며 한일 양측으로부터 환영과 우려를 불러일으켰다고 전했다. 또 ‘위안부’ 문제를 예로 들며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캘리포니아에서 세계사라는 과목은 단순한 추정적 사실을 넘어 개인의 정체성의 문제들과 점점 더 복잡하게 얽혀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위안부’ 문제, 그리고 캘리포니아 교과서에 역사가 어떻게 쓰여지는지에 대한 본보기’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LA 타임스는 이번 교육 지침은 “위안부” 이슈가 “제도화된 성 노예의 예시이자, 20세기 가장 큰 인신매매 사례 중 하나”로 고등학생들에게 가르칠 것을 추천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일본인과 한국인 단체들은 최근 자신들의 역사적 논쟁을 캘리포니아의 교실로 끌어들였으며 유럽사에 중점을 두었던 미국 고등학교의 세계사는 이제 그 범위가 최근 이민자들의 역사로 확장되면서 자신들의 조상 이야기가 미국의 다음 세대에 들려질지, 들려진다면 어떻게 들려질지에 대해 다투는 논쟁의 장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대화는 훨씬 더 흥미로워질 것이고 더 많은 논쟁을 일으키겠지만, 그것은 좋은 일이며 과거에 대한 보다 넓은 시각, 더욱 다양한 감수성을 반영할 것이다.”는 한 역사학자의 말을 전했다.


기사는 ‘위안부’에 대한 새로운 설명은 동아시아에서 오랫동안 논쟁이 되어온 정치적 이슈를 미국 고등학교에서 가르치려는 최초의 제안이며, 이는 교과서들이 이 주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에 대해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위안부” 이슈가 학생들이 현대사회의 문제인 인신매매를 연구하고 토론하는 데에 있어 귀중한 시작점이 될 것으로 믿는다. 아이들은 이것이 문제이고 여전히 이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것은 2차 세계대전 중 일본과 한국에서만 일어난 것이 아니라 더 큰 문제이다”라는 한 전문가의 말을 전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LA 타임스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lat.ms/1Putkpu




‘Comfort women’ and a lesson in how history is shaped in California textbooks

‘위안부’ 문제, 그리고 캘리포니아 교과서에 역사가 어떻게 쓰여지는지에 대한 본보기


Victoria Kim Contact Reporter

Februray 7, 2016 3:00 am




▲ Flowers lie at the Glendale memorial to “comfort women.” (Roger Wilson / Glendale News Press)

글렌데일 ‘위안부’ 추모비에 꽃들이 놓여져 있다.



After nearly a decade of delays, California educators released a draft guideline that will shape how history is taught to students across the state.


거의 10년의 지연 끝에 캘리포니아의 교육가들은 캘리포니아 주 학생들을 위한 역사 교육 지침 초안을 발표했다.


The nearly 1,000-page “History/Social Science framework” received little public attention and went largely unreported in mainstream media when it was announced in December.


거의 1,000페이지에 달하는 “역사·사회과학 교육과정 지침”이 지난 12월 발표되었을 때 대중의 주목을 별로 받지도 않았고 주요 언론에도 거의 보도되지 않았다.


But in multicultural California, that hardly means it went unnoticed.


그러나 다양한 문화의 캘리포니아에서 그러한 사실은 그 지침이 전혀 사람들의 눈에 띄지 못했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In Japanese and Korean communities on both sides of the Pacific, the guidelines have been breathlessly covered in news reports and generated rival petitions signed by thousands on each side.


태평양을 가운데 두고 일본과 한국 본국과 동포 사회 양측 모두에서 그 지침은 뉴스에서 숨 가쁘게 다뤄졌고, 양측 모두 수천 명이 서명한 경쟁적인 청원이 만들어졌다.


The brouhaha concerns two sentences describing what will be taught in 10th-grade world history classes about the women known as “comfort women,” who were coerced into sexual slavery in wartime brothels for Japanese soldiers during World War II. The passage has been met with celebration among Korean American groups that have campaigned to bring attention to the issue in the U.S., and concern from some Japanese groups that consider it an unfairly negative portrayal of their home country.


이 소동은 10학년들의 세계사 수업 시간에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에 의해 전시 사창가에 끌려간, “위안부”로 알려진 여성들에 대해 무엇을 가르칠지를 설명하는 2개의 문장을 문제 삼는다. 그 문장은 미국에서 위안부 이슈를 알리기 위해 캠페인을 벌여온 한국인 동포 단체로부터는 찬사를, 모국을 부당하게 부정적으로 묘사했다고 여기는 일부 일본인 단체로부터는 우려를 자아냈다.


The Japanese and Korean groups are only the latest to bring their historic contentions to California classrooms, where the subject of world history is increasingly entangled with questions of personal identity and family history, rather than a set of supposed facts designated experts hand down from the ivory tower.


일본인과 한국인 단체들은 자신들의 역사적 논쟁을 캘리포니아의 교실로 끌어들인 가장 최근의 사람들일 뿐으로, 캘리포니아 학제에서 세계사라는 과목은 지명된 전문가가 상아탑으로부터 건네준 일련의 추정적 사실이라기보다는 개인의 정체성과 가족사에 대한 문제들과 점점 더 복잡하게 얽혀지고 있다.


Until recently world history focused mainly on European history in U.S. high schools. As the scope expands to other parts of the world, California classrooms are becoming battlegrounds in which recent immigrant groups wrestle over whether and how their ancestors’ stories are told to the state’s next generation.


최근까지 미국 고등학교의 세계사는 주로 유럽사에 중점을 두었다. 그 범위가 세계의 다른 부분들로 확장되면서, 캘리포니아의 교실은 최근 이민자들 사이에서 자신들의 조상 이야기가 미국의 다음 세대에 들려질지, 들려진다면 어떻게 들려질지에 대해 다투는 논쟁의 장이 되고 있다.


In the years that the committee of educators has been working on the guidelines, Hindu and Sikh groups, Polish Americans and Persian historic societies have each come before the authors of the framework with requests on how their history is depicted.


교육위원회가 교육 지침을 위한 작업을 진행해 온 지난 몇 년 동안, 힌두교와 시크교도 그룹, 폴란드계 미국인과 페르시아 역사 학회들은 지침의 집필자들에게 자신들의 역사가 어떻게 묘사되는지에 대한 요청을 각각 제기해왔다.


The community groups who spoke at public meetings about their history far outnumbered teachers or educational professionals, said Nancy McTygue, who co-chaired the committee crafting the framework until last year.


공청회에서 자신들의 역사에 대하여 발언했던 지역사회 단체들은 교사들이나 교육전문가들보다 수적으로 훨씬 우세했다고, 지난해까지 교육과정 지침을 만든 위원회의 공동의장 낸시 맥타이그는 말했다.


“People were angry, people were pleading. People were excited, happy. Every emotion you can think of,” said McTygue, herself a former teacher who has taught high school history. “History is an interpretive discipline, and everybody’s got their own interpretation.”


고등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쳤던 전직 교사 맥타이그는 “사람들은 화를 내고, 호소했다. 사람들은 흥분하고, 행복했다. 가능한 모든 감정들을 보였다”며 “역사는 해석적인 학문이고 모든 사람이 자기 고유의 해석을 한다”고 말했다.


James Grossman, executive director of the American Historical Assn., said history should get revised as scholars and educators learn more about the world, and that the increased number of voices getting involved would ultimately be a blessing for California students.


미국역사협회의 대표이사인 제임스 그로스맨은 역사는 학자들과 교육자들이 세상에 대해 더 많이 배움에 따라 수정되어야 하며, 이러한 작업에 참여하는 목소리가 더욱 많아지는 것은 캘리포니아의 학생들에게 궁극적으로 잘된 일이라고 말했다.


“The conversation is going to be a hell of a lot more interesting and more contentious, but that’s a good thing,” he said. “The conversation is going to reflect a wider perspective on the past, wider number of sensibilities.”


“대화는 훨씬 더 흥미로워질 것이고 더 많은 논쟁을 야기하겠지만, 그것은 좋은 일이다”라고 그는 말했다. “이 대화는 과거에 대한 보다 넓은 시각, 보다 다양한 감수성을 반영할 것이다.”


World historian Patrick Manning, a University of Pittsburgh professor, said the debates in California were a result of clashes between documented history and the communities’ collective memories, which inform questions of identity.


피츠버그대 교수이자 세계사학자인 패트릭 매닝은 캘리포니아의 논쟁은 기록된 역사와 공동체의 집단적 기억이 충돌한 결과이며, 이는 정체성에 대한 질문들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The depth and intensity of those debates is because of their memory – their feelings about the past – as much as it is about history,” he said.


“그런 논쟁의 깊이와 강도는 그것이 역사에 관한 논쟁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또한 그들의 기억 –과거에 대한 그들의 감정 – 때문이기도 하다”고 그는 말했다.


John W.I. Lee, a professor of ancient Greek and Persian history at UC Santa Barbara, reviewed the framework and submitted comments at the urging of a group of Persian parents. They were concerned that ancient history in the sixth-grade curriculum was told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reeks, demonizing Persians as “barbarians”

without recognizing the political and cultural contributions of the Achaemenid Empire.


산타바바라 대학의 고대 그리스와 페르시아 역사교수인 존 W.I. 리 교수는 페르시아계 학부모 그룹의 요청에 따라 교육과정 지침을 검토하고 견해를 제출했다. 학부모들은 6학년 커리큘럼에 포함된 고대 역사가 그리스인들의 시점으로만 서술되어, 아케메네스 제국이 정치적, 문화적으로 이바지한 점은 도외시한 채 페르시아인들을 “야만인”이라고 악마화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When you have a state that’s as multicultural and multiethnic as California, of course it becomes an issue in the classrooms,” he said.


“캘리포니아처럼 다문화, 다인종적인 주에서는 당연히 이런 것들이 교실에서 문제가 된다”고 그는 말했다.


One of the parents, Jaleh Niazi, said she and others asked themselves if they were being biased by pride for their own culture. But after consulting scholars, they concluded there were historic inaccuracies to be corrected in depictions of ancient Persia and modern Iran, she said.


학부모 중의 한 명인 잘레 니아지 씨는 자신과 다른 사람들 스스로가 혹시 자신들 문화에 대한 자부심으로 인해 편견을 가지게 된 것인지 자문했다고 한다. 하지만 학자들과 상의한 결과, 그들은 고대 페르시아와 현대 이란에 대한 묘사에서 수정되어야 할 오류가 있다고 결론지었다고 그녀는 말했다.


“We want our kids to take pride in what was good, and learn from what was bad,” said Niazi, a pediatrician who has two daughters in the 10th and eighth grades. “This is not only about my children. It’s important for California as a whole to know the world they live in.”


“우리는 우리 아이들이 과거의 좋은 점에 대해 자부심을 느끼고, 나쁜 점으로부터 배우길 원한다”고 10학년과 8학년 두 딸을 둔 소아과 의사인 니아지 씨는 말했다. “이것은 단지 내 아이들의 문제가 아니다. 캘리포니아 전체가 자신들이 사는 전 세계에 대해 제대로 아는 것은 중요하다.”


The new language on “comfort women” marks the first proposal to teach what has been a long-contentious political issue in East Asia in high school classrooms in the U.S. It has the potential to widely influence how textbooks address the topic.


“위안부”에 대한 새로운 설명은 동아시아에서 오랫동안 논쟁이 되어온 정치적 이슈를 미국 고등학교에서 가르치려는 최초의 제안이다. 이는 교과서들이 이 주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가진다.


The guidelines recommend that the subject of “comfort women” be taught to high schoolers “as an example of institutionalized sexual slavery, and one of the largest cases of human trafficking in the 20th century.”


이 교육 지침은 “위안부” 이슈가 “제도화된 성노예의 예시이자, 20세기 가장 큰 인신매매 사례 중 하나”로 고등학생들에게 가르칠 것을 추천하고 있다.


The passages were incorporated into the draft framework at the urging of Korean community groups, authors of the guideline said.


교육 지침의 필진은 그 구절이 한인 동포 사회 단체들의 촉구에 의해 지침의 초안에 포함되었다고 밝혔다.


McTygue and Bill Honig, co-chairs of the History-Social Science subject matter committee, said they consulted the latest historical research and survivors’ testimony and concluded there was enough evidence for it to be taught in schools.


역사-사회과학 위원회의 공동 의장인 맥타이그와 빌 호니그는 최신 역사 연구와 생존자들의 증언을 살핀 결과 학교에서 이를 가르칠 수 있을 만한 충분한 증거가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Honig said he believed the issue would be a valuable starting point for students to research and discuss the present-day problem of human trafficking.


호니그는 “위안부” 이슈가 학생들이 현대사회의 문제인 인신매매를 연구하고 토론하는 데에 있어 귀중한 시작점이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Kids should know that this is a problem and it’s going on. It’s not just in Japan and Korea during World War II, it’s a bigger problem,” he said.


“아이들은 이것이 문제이고 여전히 이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것은 2차 세계대전 중 일본과 한국에서만 일어난 것이 아니라 더 큰 문제이다”라고 호니그는 말했다.


After the conservative Japanese newspaper Sankei reported on the new framework in December, under the tag “History Wars,” an online petition on Change.org has collected more than 5,000 signatures protesting the description.


작년 12월 일본 보수 언론인 산케이 신문이 이 새로운 교육과정 지침에 대해 “역사 전쟁”이라는 문구를 붙여 보도한 이후, Change.org 사이트는 온라인 청원을 통해 그 구절에 항의하는 5천 개 이상의 서명을 모았다.


The petition asks that the passages be amended to also describe comfort women as “well-paid prostitutes” and that they also served Allied troops in Japan immediately after the war.


이 청원은 위안부들이 “높은 보수를 받은 매춘부’였으며 이들은 세계대전 직후 일본에 있던 연합군도 접대했다는 식으로 그 구절을 수정할 것을 요구했다.


The petition, which is predominantly signed by Japanese residents but also a few dozen Californians, says school textbooks should not be used as “propaganda advertisement.”


서명자 대부분은 일본 거주자였지만 수십 명의 캘리포니아인도 포함되었던 청원문은 교과서가 “정치적 선전 홍보”의 용도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Honig, who was sent a copy of the petition, said he was surprised the language would be controversial, especially given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has apologized.


청원서 사본을 받은 호니그는 특히 일본 정부가 사과까지 한 시점에 그 구절이 논쟁거리가 된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말했다.


Hiroyuki Miyoshi, a Culver City computer programmer who signed the petition, said he was concerned his children will face animosity in school based on what he believed was an unsettled point of history.


청원에 서명한 칼버시티 컴퓨터 프로그래머인 미요시 히로유키 씨는 자기 생각으로 아직 확실하게 정립되지 않은 역사적 사실 때문에 자신의 아이들이 학교에서 적대감을 경험할 것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In this situation I don’t think it’s fair to teach, when the conversation is still controversial,” said Miyoshi, 50, whose two younger children are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and will be taught under the new framework. He said he believed the issue was a matter between the two East Asian neighbors and had no place in California textbooks.


자신의 어린아이들이 5학년과 6학년으로 이 새로운 교육과정 지침 하에서 공부하게 될 미요시(50)는 “아직도 이에 대한 토론이 논쟁을 일으키는 이런 상황에서 이를 가르치는 것이 공정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그는 위안부 문제는 두 동아시아 국가 사이의 문제이고 캘리포니아 교과서에 나올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If the framework is adopted, Miyoshi said he would probably urge his children to do their own research rather than take in what they’re taught as fact.


미요시 씨는 그 새로운 교육과정 지침이 채택된다면 자기 아이들에게 사실인 양 배우는 것들을 그냥 받아들이지 말고 스스로 알아보라고 권하겠다고 말했다.


“The U.S. has been drawn into this as a battleground for these memory wars,” said Daniel C. Sneider, associate director of research at Stanford University’s Shorenstein Asia-Pacific Research Center, who has studied depictions of World War II events in textbooks in the U.S. and elsewhere.


스탠퍼드대학 쇼렌스틴 아시아태평양 연구소 부소장으로서 미국과 그 외 다른 나라들에서 2차 세계대전 사건이 교과서에 어떻게 기술되는지를 연구해온 대니얼 C. 스나이더 씨는 “미국이 이에 휩쓸려 들어 이 기억 전쟁의 전쟁터가 되었다”고 말했다.


He said he was “pleasantly surprised” by the inclusion of comfort women in the new California framework, and said it showed a broadening global perspective in how history is taught here.

Because California, along with Texas, is the largest buyer of textbooks, state guidelines will probably reverberate elsewhere, he said.


그는 새로운 캘리포니아 교과과정 지침에 위안부가 포함된 것이 “의외였으나 기뻤다”고 말하며 이것은 이곳에서 역사가 어떻게 교육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전 세계적 시각이 넓어지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텍사스와 함께 캘리포니아는 교과서 최대 구매자이기 때문에 캘리포니아의 정책은 아마 다른 곳에서도 반향될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Phyllis Kim, an activist with the Korean American Forum of California, which has vigorously campaigned to bring recognition to comfort women, said the new framework was a step toward solidifying Korean Americans’ place in California.


위안부 문제를 알리는 일에 활발하게 활동해온 캘리포니아 한미포럼의 활동가인 필리스 김은 그 새로운 교과과정 지침은 캘리포니아에 있는 한국인 동포들의 입지를 조금 더 공고히 다져줄 것이라고 말했다.


“When we immigrate, we bring our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she said. “That’s the wealth that we bring into this state.”


그녀는 “이민 올 때 우리는 우리의 언어와 문화와 역사를 가지고 온다”며 “그것이 우리가 미국에 가져오는 부유함이다”고 말했다.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출처 : https://thenewspro.org/?p=17605>




출처 : Irene의 스크랩북
글쓴이 : Irene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