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기술간담회 참석 여부 아직 정하지 못했다"
신경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5일 숨진 국정원 직원 임 과장의 해킹 자료 삭제와 관련, "여러 가지 정황을 볼 때 임 과장은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삭제에 동원된 것 아니냐는 추론이 가능하다"며 국정원의 조직적 삭제 의혹을 제기했다.
신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기초적으로 어느 조직이나 기밀이 삭제될 때는 경보시스템이 작동되는데, 이거에 대해서도 삭제규정을 제출해달라는 것도 안보와 무관한데 아무 얘기가 없다"며 국정원의 자료 제출 거부를 비판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유서를 보고 삭제사실을 알았다고 국정원이 얘기하고 있는데 대해서도 여러가지 자료를 요구하고 있는데 이것도 안보와 무관하나 전혀 얘기를 안 하고 있다"면서 "4월에 대전에 전출 간 임 과장이 어떻게 해서 RCS 프로그램의 아이디와 비번에 접근했는가도 대단히 의문인데, 여기에 대해서도 설명이 전혀 없다"며 거듭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국정원이 입장을 확 바꾸리라 우리가 생각하지 않는다. 국정원의 이 오만불손, 국민무시, 막무가내 이건 바꾸기가 어려운 것 같다. 그래서 고민이 있는 것"이라며 "정보위는 비공개이기 때문에 어떻게 해볼 수도 없다. 정보위가 좀 공개를 해야되는 것 같다"며 정보위 전체회의의 공개-비공개 이원화를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그는 6일 예정된 국정원과의 기술간담회에 참석할지 여부를 놓고 아직 당론을 정하지 못하고 고심중임을 밝혔다.
그는 "(의견이) 갈라져 있다. 모아지지 않는다"며 "여당이 간담회로 이용해서 정쟁과 홍보의 장으로 쓰려고 한다는 첩보와 정황을 저희가 갖고 있는데 뻔히 알면서 기술간담회를 가야 되느냐는 회의론이 있고, 그래도 기술간담회니까 가서 들어보면 또 말이 바뀌고 어긋나는게 있지 않겠냐, 한번 가보는 게 어떻냐는 두 가지 이론이 있다"고 전했다.
그는 "조금 더 의견을 모아본 뒤에 결정해서 내일 안철수 위원장이 (참석 여부를) 얘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8월 6일 오후 2시는 헌법에 있는 것도 아니고, 불변부동의 날짜가 아니니까 조금만 고쳐진다면 언제든지 광복절 휴일이라도, 회기가 아니더라도 간담회는 가능하다"며 연기 가능성을 시사했다.
'Forever&Memor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뉴스타파> 광복절 앞두고 ‘천황폐하’…박근령, 망언 잔치 (2015년 8월 5일) (0) | 2015.08.07 |
---|---|
[스크랩] 국정원해킹, 풀어야할 12가지 의혹! - 정봉주의 전국구 95회 (0) | 2015.08.06 |
'온라인 감시' 폭로 기자들 수사하려던 독일 검찰총장 해임 (0) | 2015.08.06 |
신경민 "국정원, 자료제출 '거부' 입장 변함없어" (0) | 2015.08.05 |
국정원 자료제출 거부 버티기…해킹사건 미궁 빠지나? (0) | 2015.08.05 |